투탕카멘 왕의 무덤
*다음의 모든 글과 그림은 <디스커버리 뉴스>의 사진 모음 기사를 번역, 인용한 것이며, 상세한 웹사이트 주소는 아래와 같다.
http://news.discovery.com/history/ancient-egypt/town-feeds-pyramid-builders-130424.htm
<사진 01. 투탕카멘 왕의 마스크(King Tut's Mask)>
‘투탕카멘: 무덤과 보물’이라는 새로운 전시회가 취리히(Zurich)에서 열리고 있다. 이 전시회에서는 무덤의 건물과 보물을 꼼꼼하게 재현했다. 카이로에서 특별한 교육을 받은 장인(匠人)들이 과학적인 관리 방식에 따라 작업하면서 아주 똑같은 복제품을 천 점 이상 제작했다. 이들의 작업에 5년이 걸렸다. 위 사진은 저 유명한 투탕카멘 왕(King Tutankhamen, King Tut)의 황금 마스크를 복제한 작품이다. 24파운드(약 10.9킬로그램) 무게의 이 마스크는 붕대를 칭칭 감은 투탕카멘 왕의 미라 머리 부분을 덮고 있었던 것이다. 젊은 왕의 이상화된 초상은 후기 아마르나 시대(기원전 14세기 전반부터 중엽에 걸친 시대. 고대 이집트 역사상 가장 평화롭고 번영한 시대임)의 양식을 반영한 것이다. 마치 실물 같은 눈은 반짝반짝 빛나는 수정으로 만든 것이다. 눈동자 부분은 흑요석으로 상감했다. 사진: 로셀라 로렌찌/세멀 콘서츠(Rossella Lorenzi/Semmel Concerts)
<사진 02. 투탕카멘 왕과 왕비>
투탕카멘 왕의 옥좌 등받이에 그려져 있는 그림이다. 투탕카멘 왕이 왕비인 앙케세나멘(Anchesenamun)과 있을 때에는 편안한 자세로 의자에 등을 기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왕비는 왕의 옆에 서서 어깨에 연고를 발라주고 있다. 사진: 로셀라 로렌찌/세멀 콘서츠
<사진 03. 무덤에서 발견된 유물들>
이 사진은 1922년 고고학자인 하워드 카터(Howard Carter)가 소년 왕 투탕카멘의 무덤을 발굴했을 당시 내부의 모습을 보여준다. 사진: 로셀라 로렌찌/세멀 콘서츠(Rossella Lorenzi/Semmel Concerts)
<사진 04. 입체로 표현한 투탕카멘 왕의 무덤>
3D 입체 모델로 형상화한 투탕카멘 왕의 무덤과 부장품. 통로를 죽 따라가면 유물들이 가득한 곁방과 부속실이 나온다. 곁방은 투탕카멘의 석관(石棺)이 놓인 방으로 이어진다. 관이 놓인 방은 투탕카멘 왕의 보물이 들어찬 또 다른 작은 방으로 통한다. 사진: 로셀라 로렌찌/세멀 콘서츠(Rossella Lorenzi/Semmel Concerts)
<사진 05. 엄청난 양의 보물들>
무덤에서는 왕과 함께 미라로 만든 2구의 자그마한 여자 태아들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사후 세계로 가는 투탕카멘 왕의 여행을 위해 무덤 속에 놓아 둔 동반자는 이들 뿐만이 아니었다. 5천 점이 넘는 값비싼 귀중품과 함께 소년 왕을 묻었다. 위 사진의 보물 상자도 이 귀중품들 중 하나이다. 사진: 로셀라 로렌찌/세멀 콘서츠(Rossella Lorenzi/Semmel Concerts)
<사진 06. 소년의 옥좌>
무덤 속에서 발견된 유명한 황금 옥좌는 투탕카멘이 9살의 나이로 왕이 되었을 때 주문 제작한 것이다. 사진: 로셀라 로렌찌/세멀 콘서츠(Rossella Lorenzi/Semmel Concerts)
<사진 07. 사자 머리>
죽어서 저승으로 간 왕은 밤 동안의 해와 같았다. 신왕국 시대(New Kingdom, 고대 이집트의 신왕조 시대로서 기원전 1580~1085년)에는 죽은 왕이 죽음의 신인 오시리스(Osiris)라고 믿었다. 사자 머리는 태양신(sun god)이 고양잇과 동물의 모습으로 하늘의 신(god of heaven) 노릇을 하던 시절을 상징한다. 눈 테두리, 코 끝, 눈물길(tear ducts) 등 사자 머리의 세부 표현에는 유리를 사용해서 실물과 거의 비슷한 모습이다. 사진: 로셀라 로렌찌/세멀 콘서츠(Rossella Lorenzi/Semmel Concerts)
<그림 08. 사후 세계를 위한 하인>
사후 세계의 일상 업무를 왕 대신 수행하게 하려고 이 인형들을 만들어 넣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투탕카멘 왕의 무덤에서는 우샤브티(ushabtis)라고 부르는 이런 인형들을 총 413점 발굴했다. 이 컬렉션 중에서 365점은 하루씩 업무를 수행하는 인형들이다. 또한 36점의 우샤브티는 인형 하나마다 10점의 업무 수행 인형들을 감독했다. 나머지 12점의 인형은 각 달마다 관리책임자 역할을 했다. 사진: 로셀라 로렌찌/세멀 콘서츠(Rossella Lorenzi/Semmel Concerts)
'왼손으로 쓰기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tional Geographic]냉전시대 첩보위성과 고고학 (0) | 2014.06.08 |
---|---|
[National Geographic]칭기즈칸의 비밀병기 (0) | 2014.06.06 |
[고대라틴아메리카]페루의 모체 벽화와 기가픽셀 기술 (0) | 2013.08.06 |
[몽골]칭기즈칸과 금단의 무덤 (0) | 2013.07.27 |
[고대중국]중국사에 나타난 민족들 (0) | 2013.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