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른손으로 쓰기/정원과 공원25

마사 슈워츠의 인스턴트 가든 스위스 작가 나딘 올로네츠키(Nadine Olonetzky, 1962~)의 책 《영감: 정원사를 따라가는 시간 여행(Inspirations: Time Travel through Garden History, 2017)》은 그 부제처럼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연대 순으로 이어지는 흥미로운 역사 속 정원들의 이야기다. 의미 있는 연도에 적절한 제목을 붙인 짧은 이야기들이 연속되어서 처음부터 순서대로 읽어도 좋고 훌훌 넘기면서 제목에 눈길이 가는 글들을 골라 읽어도 좋다. 장구한 역사를 200쪽 내외로 축약한 이 책에서 마사 슈워츠는 무려 두 번이나(?) 등장하는데, 여기 소개하는 내용이 그 중 하나다. 제목은 이다. 미국 조경가 마사 슈워츠(1950~)는 정원이 인공으로 창조된 자연 환경이며, 또 이런 자연 환.. 2022. 5. 25.
[ACHG] 르네상스 정원, 대지의 팔레트 르네상스 정원의 문화사가 바로 르네상스의 역사에 해당한다. 연구 결과로 드러난 르네상스 유럽은 자연세계에 매료된 남녀들이 살던 시대였으며, 이들은 스스로 느낀 매력을 함께 나누고 탐구할 새로운 수단을 만들었다. 또 자신들이 등장하는 복잡다단한 사회적, 정치적 무대에서 창출한 경관들의 활용법을 개발했다. 더 넓게 보면, 이런 문화경관에서 등장한 정원을 통해서 과거와 미래 모두를 자의식적으로 살핀 유럽이 드러난다. 그러면서 고대의 과거에게서 입은 은혜를 진심으로 인정하고, 한편으로는 새로 발견하고 창조한 동시대 세계를 들뜬 마음으로 받아들인다. 1400년부터 1700년까지 시대를 들여다보는 렌즈로서 르네상스 정원을 활용하면, 이 세계 속 인간의 입지를 의식적이면서 체계적으로 확립하는 풍경 한 장면이 뚜렷이 .. 2018. 4. 29.
140629 마사네 가게에서 파는 베이글[Topos] 마사네 가게에서 파는 베이글 A Ba­gel from Mar­tha’s Shop 2014년 4월 28일 로버트 섀퍼(Robert Schäfer) ​ 조경가의 온라인 숍에서 판매하는 디자인 신제품이 화제가 되고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바로 조경가 마사 슈워츠(Martha Schwartz)가 디자인한 약 1Kg 무게의 청동제 베이글이다. 베이징의 금속공예 공장에서 백 점의 한정판을 제작했는데, 웹사이트 ‘마사 슈워츠 파트너스(Martha Schwartz Partners)’를 통해서만 구입이 가능하다. 마사 슈워츠는 ‘베이글 가든(Bagel Garden)’을 기념하는 온라인 숍의 첫 출시작을 내놓았다. ‘베이글 가든’은 슈워츠의 설계 경력 초기에 만든 작품이다. 1979년에 조성한 베이글 가든은 규모는 작지만.. 2018. 3. 21.
[Architizer]정원책방 정원 책방 Garden library 대상지: 체코 공화국 베로운 (Beroun, Czech Republic) 설계사: Mjölk architekti 정원 책방(Garden Library) 책방은 체코의 자드니 트레반(Zadní Třebáň)에 자리 잡고 있다. 우리가 손수 만들었다. 구조물의 소재는 목재와 합판이다. 구조를 떠받는 프레임이 곧 책방이다. 건축물 입면은 유리섬유(fiberglass)이다. 1층은 벽난로가 있는 독서실이다. 2층에서는 주변 경관을 둘러볼 뿐 아니라 잠도 잘 수 있다. 책방의 지붕은 열려 있다. 따라서 이 집의 꼭대기 부분은 전망대로 쓸 수도 있다. 도서관의 준공을 작년 말로 계획했다. 하지만 2011년 11월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서 책방이 불타 버렸다. 수리하는 데에 반 년.. 2014. 6. 15.
[Guardian]자꾸 줄어만 가는 아버지의 텃밭 자꾸 줄어만 가는 아버지의 텃밭 My Dad's ever shrinking veg patch “집에서 가꾼 과일과 야채는 캐롤린 맥기번이 어린 시절을 회상할 때마다 떠올리는 아주 중요한 생활의 일부였다. 이제 부모님은 텃밭의 규모를 줄이고 있다. 캐롤린에게는 이렇게 텃밭이 줄어든다는 사실이 슬프기만 하다.” 2014년 4월 26일 캐롤린 맥기번(Caroline McGivern) “나를 만나기 전, 네 아빠는 야채가 뭔지도 몰랐단다.” 엄마는 이렇게 자주 말씀하셨다. 아버지는 맨체스터의 드라이든 스트리트(Dryden Street)에서 자랐다. 다닥다닥 열을 지어 붙어 서있던 당시 테라스 하우스들은 그 이후로 계속 철거되었다. 엄마는 구스트리(Goostrey)라고 불리는 체셔(Cheshire) 지방의 궁벽한.. 2014. 5. 4.
[Fast Company]아부다비의 알 파야 공원 비밀 정원을 품은 아부다비의 사막 공원 In Abu Dhabi, A Desert Park With A Secret Garden 풀로 덮인 유럽 스타일의 공원을 아부다비(Abu Dhabi, 역주: 아랍에미리트 및 아부다비토후국의 수도)에 조성하려면, 강렬한 태양 빛에 대응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해야 한다. 런던에 기반을 둔 건축가인 토마스 헤더윅(Thomas Heatherwick, 1970. 02. 17~)이 이런 사실을 염두에 두고 약 12만 m²면적의 알 파야 공원(Al Fayah Park)을 재설계하고 있다. 이 설계를 통해서 공원은 사막의 배경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사람들이 모이기에 편한 장소가 되어야 한다. 헤더윅 스튜디오(Heatherwick Studio)는 아부다비 알 파야 공원의 개념.. 2014. 4.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