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손으로 쓰기/사람4 [이정우]코라의 시대, 플라톤과 데리다: 01 이해도가 낮아서 개조식으로 정리한다는 점이 아쉽다. 그저 축약해서 적는 것만도 자꾸 조심스러워져서 동영상을 두어 번 띄엄띄엄 다시 들었다. 하지만 이 또한 인용부호 안에 넣는 것임을, 어차피 의미는 변화한다는 것으로 위안을 삼는 수밖에... * 내재성: 초월성의 극복이며, 현대사상의 기저에 있는 공통적 경향 * 초월성은 대체로 세 가지로 구분 1. 플라톤적, 기독교적 초월성: 이 세계 바깥에 이 세계를 초월한 존재를 설정, 대표적 사례가 기독교, 신 1) 플라톤의 데미우르고스(δημιουργός, demiurge 만드는 자)는 철학자간의 이견이 있기는 하지만 조물주 성격에 가까움 2)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이 이데아의 초월성을 너무 강조했다는 점에서 반박 3) 감각적 차원(경험)과 가지적 차원(이데아) .. 2019. 3. 13. [wiki] J.D. 샐린저와 <호밀밭의 파수꾼> J. D. Salinger Note: 《호밀밭의 파수꾼》을 읽던 중 저자와 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영문 위키피디아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https://en.wikipedia.org/wiki/J._D._Salinger)의 내용 중 일부를 발췌하여한국어로 번역한 내용을 게시합니다. 1950년의 샐린저(사진: 로테 자코비Lotte Jacobi) 요약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1919.1.1~2010.1.27)는 널리 읽힌 소설 '호밀밭의 파수꾼The Catcher in the Rye'으로 유명한 미국 작가다. 단편소설들과 호밀밭의 파수꾼을 출판하면서 얻은 때이른 성공 이후, 샐린저는 반세기 이상 대중에게 거의 드러나지 않는 삶을 살았다. 1965년에 최후의 원작을 출판했고 1980년에 마지막 인터뷰를 .. 2018. 12. 2. 두더지 인간(William Lyttle), 그 후 두더지 인간, 그 후 Mole Man of Hackney 자신의 땅 아래서 남몰래 끊임없이 굴을 팠던 두더지 인간(mole man)! 그에 대해서 설명하려면 먼저 그가 살던 영국 런던의 한 지역을 소개해야 한다. 더 비버 타운(De Beauvoir Town)은 런던 해크니 자치구(London Borough of Hackney)의 한 지역이며, 이 지역 중 일부는 런던 이즐링턴 자치구(London Borough of Islington)에도 속해 있다. 지역의 경계는 동쪽으로는 킹즈 로드(Kingsland Road), 서쪽으로는 사우스게이트 로드(Southgate Road), 남쪽으로는 리젠트 캐널(Regent's Canal), 북쪽으로는 토튼햄 로드(Tottenham Road)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부분은.. 2013. 6. 13. [wikipedia] Mike Davis Mike Davis http://en.wikipedia.org/wiki/Mike_Davis_(scholar) *빌딩블로그(BldgBlog) 등장인물들에 대한 추가 설명을 위해서 위키피디아의 영문 내용을 번역 **빌딩블로그 번역서 104~108쪽, '슬럼과 극소불량국가: 마이크 데이비스와의 인터뷰‘ 참고 마이크 데이비스(1946~): 미국 캘리포니아 주 폰타나(Fontana) 출신. 마르크스주의 작가, 정치 활동가, 도시 이론가, 역사가. 자신의 고향인 남부 캘리포니아를 대상으로 권력과 사회 계급에 관해 연구한 학자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1. 생애 마이크 데이비스는 캘리포니아 주의 폰타나에서 태어났으며, 같은 주의 서남부 도시인 엘카혼(El Cajon)에서 자랐다. 고기 절단, 트럭 운전 등의 아르바.. 2013. 5.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