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왼손으로 쓰기/역사

[고대중국]중국사에 나타난 민족들

by deli-space 2013. 7. 25.

중국사에 나타난 민족들

Ethnic groups in Chinese history

 

본문으로 들어가기 전에 두 가지는 언급해야겠다.

 

먼저 고구려의 나라 이름 표기이다. 영문 위키피디아 그림 하단의 글에서 미리 언급하고 있듯이 중국사 관련 민족들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의 출처가 중국 문헌인 것은 맞다. 심지어 우리 고대역사를 서술할 경우에도 중국 문헌을 토대로 할 때가 많으니까. 하지만 우리의 삼국유사나 삼국사기는 동시대의 문헌이 아니라서 무시당하는 것일까? 아니면 이 책들을 영문으로 적절하게 번역한 내용이 영어권 나라들에 소개되지 않아서일까? 고구려의 후손인 우리 민족이 버젓이 살아남아 있고 스스로를 부르던 이름이 있는데, 한 왕조 시절의 세력 판도를 나타낸 첫 번째 그림에서 고구려(Goguryeo)를 중국식 명칭인 까오꺼우리(Gaogouli)으로 표기한 것은 아쉬움이 남는다.

 

다음은 당 왕조 시절 주변 세력에 관한 오류이다. 세력 판도를 나타낸 두 번째 그림을 살펴보면, 이번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를 제 이름대로 표현한 것은 옳지만, 거란(Khitan)이 웅거한 지역의 동북쪽에 발해(Balhae)가 표시되어 있다. 당 왕조는 618년부터 907년까지 지속되었고 고구려 멸망이 668, 발해 성립이 698년이니까 이 세 나라들의 역사가 서로 얽힌 것은 맞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듯이 고구려와 발해가 공존했던 것은 아니다. 고구려, 백제가 존속하던 시기라면 발해가 아니라 말갈의 영역으로 보는 게 옳겠다.

 

출처: 아래 모든 텍스트와 그림, http://en.wikipedia.org/wiki/Ethnic_groups_in_Chinese_history

   

<서기 2세기 중국 한(漢) 왕조가 인식한 세계를 나타낸 지도. 중국 이외 민족과 나라 이름은 특별히 한 왕조가 부르던 중국식 이름을 따랐다. 예를 들면 중앙아시아 시르 강 상류 지역의 지명인 페르가나(Fergana)는 대완(大宛)으로 표시했다. 또한 고구려(Goguryeo) 대신 까오꺼우리(Gaogouli)로 적었다. 이것은 한 왕조 시절 주변 세력들에 대해 알고 있는 지식이 거의 모두 중국 자료에서 비롯한다는 사실을 반영하기 위해서이다.>

 

<당(唐) 왕조 시기 주변 민족 (및 기타) 또는 이들이 자리 잡은 지리적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중국사에 나타난 민족들'은 중국 역사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했다고 보는 여러 민족들을 일컫는다. 이들에 관한 지식은 중국고전전적(中國古典典籍,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중국 안팎의 문헌 자료와 금석문(金石文), 역사 언어학, 고고학 등의 연구를 통해서 수집한 것이다.

중국의 민족 집단에 대해 연구하다보면, 상대적으로 긴 시간을 다뤄야 하고 중국사를 담은 수많은 문헌과 역사 기록을 찾아봐야하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 중국 고전에서 나타나는 민족학(그 당시나 지금이나 대다수 민족학이 그런 것처럼)은 대체로 피상적이다. 실제 중국어로 서술한 이름이 민족 집단 자체를 가리키는 말인지 아니면 다민족으로 이루어진 국가(political entity)를 칭하는 말인지도 불명확하다. 심지어 당시에는 민족 자체의 특성보다는 지리적 위치나 주변 경관에 따라서 민족의 이름을 짓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한족(漢族, Han Chinese) 출신의 저자들이 중국 안팎의 민족이 지닌 생활양식, 언어, 통치체제 등이 거의 차이가 없다고 전하는 사례도 왕왕 있었다. 민족 이름 중 다수는 '야만인'을 연상시키는 단어를 택해서 역사적으로 사용해왔다.

 

1. 영어 이름

중국사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민족 집단의 이름을 자역(字譯) 또는 번역해서 영어로 바꿀 수 있다. 자역을 통하면, 중국 문자로 적은 말을 영어 알파벳 단어로 번역해서 민족 또는 사회적 집단에게 알맞은 명칭을 부여한다. 몇몇 사례를 살펴보면, 저자들은 다양한 집단을 가리키는 단어들을 적절한 명사로 번역하는 것을 선호한다. 하지만 중국어로 적은 이 모든 명칭을 영어로 바꾸다보면 야만인이라는 일반 명칭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런 방식을 택할 경우 수많은 중국 단어를 영어로 번역해서 야만인이라는 뜻의 용어를 만들거나 아예 '바바리안(barbarians)'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분해서 쓰기도 한다. 예를 들어 북쪽에 사는 야만인, 남쪽에 사는 야만인으로 칭하거나 '노던 바바리안(Northern Barbarians, 북적[北狄])', '서던 바바리안(Southern Barbarians, 남만(南蠻)'이라고 번역하는 것이다.

 

2. 민족 집단의 목록

다음 내용은 중국사에서 역사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다양한 민족 집단들과 기타 사회 집단들을 요약 정리한 것이다(연관관계가 명확하지 않으면 물음표로 표시했다).

 

[역주]

*핀인(Pinyin):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

**위키피디아의 표는 각 열별로 정렬이 가능하므로 다양하게 순서를 뒤섞어서 한 눈에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여러 민족이 중국에서 출현한 시기를 기준으로 서술 순서를 정리했다. 따라서 여기에 나오는 21개 민족을 나열한 순서는 다음과 같다.

한족(선사시대) - 묘족(기원전 25세기) - (기원전 14세기) - (기원전 8세기) - 월지(기원전 6세기) - 선비(기원전 4세기) - 오환(기원전 4세기) - (기원전 2세기) - 고거(기원전 1세기) - (서기 2세기) - 유연(서기 3세기) - 고막해(서기 4세기) - 거란(서기 388) - 돌궐(서기 5세기) - 토번(서기 6세기) - 실위(서기 6세기) - 회흘(서기 7세기) - 말갈(서기 7세기) - 탕쿠트(서기 8세기) - 몽고(8세기) - 여진(10세기)

 

2.1 Han(한족, 漢族)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Han(한족, 漢族)

-중국어 이름 및 발음: (Hàn, )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중국, 특히 중국 중부지방

-중국사의 출현 시기: 역사시대 초기 또는 선사시대(명칭은 한 왕조 시기부터)

-중국어 이외의 이름: Han Chinese(한족), Chinese(중국)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한 왕조 시기가 확실함

-추정 가능한 후손: 현대 중국

 

2.2 Miao(묘족, 苗族)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Miao(묘족, 苗族)

-중국어 이름 및 발음: (Miáo, 먀오)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황하(黃河) 북부지역(산시 성, 허베이 성)부터 윈난 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역에 사는 민족들을 부르던 통칭

-중국사의 출현 시기: 기원전 25세기~현재

-중국어 이외의 이름: Hmong(몽족), Hmu(), Xong(), A Hmao(아마오)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위키피디아의 Miao 참조

-추정 가능한 후손: 중국, 아메리카, 유럽의 묘족과 몽족

 

2.3 Qiang(, 羌族)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Qiang(, 羌族)

-중국어 이름 및 발음: (Qiāng, 치앙)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간쑤 성(Gansu), 칭하이(Qinghai), 쓰촨 성(Sichuan) 동부지역, 신장의 서부지역, 티베트의 동북부지역

-중국사의 출현 시기: 기원전 14세기~기원전 1050, 상 왕조 시기의 갑골문자(oracle bone inscriptions)에 언급되어 있음. 기원전 4세기~5세기 후반 한족에 동화됨

-중국어 이외의 이름: 없음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해당 없음

-추정 가능한 후손: 현대의 강족, 탕구트족(Tangut), 고대 티베트인, 나시족(Nakhi, 纳西族), 징포족(Jingpho, 景颇族), 라후족(Lahu, 拉祜族)

 

2.4 Di(, 氐族)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Di(, 氐族)

-중국어 이름 및 발음: (Dī, )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간쑤 성, 칭하이, 쓰촨 성, 산시 성의 경계에 인접한 지역

-중국사의 출현 시기: 기원전 8세기~서기 6세기 중엽 한족에 동화됨

-중국어 이외의 이름: 없음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해당 없음

-추정 가능한 후손: 쓰촨 성의 소수민족

 

2.5 Yuezhi(월지, 月氏)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Yuezhi(월지, 月氏)

-중국어 이름 및 발음: 月氏(Yuèzhī, 예지)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타림 분지(Tarim basin)

-중국사의 출현 시기: 기원전 6세기~기원전 162년 흉노에 의해 축출됨

-중국어 이외의 이름: Kushans(이란의 쿠샨인), Tocharians(토카라인, 불분명함)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기원전 2세기 중엽 중앙아시아

-추정 가능한 후손: 알려진 후손 없음. 하지만 위구르인에 흡수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현재 위구르인들 중 다수가 몽골로이드 인종의 특성을 지니고 있지만, 이들에게는 인도-유럽인의 DNA 비율이 매우 높다(한편 일부 위구르인은 밝은 색 모발과 눈동자, 얼굴 형 등에서 유럽 인종과 비슷한 특성을 지니고 있음).

 

2.6 Xianbei(선비, 鮮卑)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Xianbei(선비, 鮮卑)

-중국어 이름 및 발음: 鮮卑(Xiānbēi, 샨베이)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만주 지역(헤이룽장 성, 지린 성, 랴오둥 성), 몽골지역, 내몽골지역. 황하 북부지역으로 이동해서 그곳에서 왕조를 세웠음

-중국사의 출현 시기: 기원전 4세기~서기 6세기 중엽 한족에 동화됨

-중국어 이외의 이름: 해당 없음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해당 없음

-추정 가능한 후손: 알려진 후손 없음(오늘날 중국인 일부가 예웬(Yuwen), 예치(Yuchi), 쟝순(Zhangsun), 투오바(Tuoba), 무롱(Murong), 후얀(Huyan) 등 선비족의 성()을 지니고 있기는 하다)

 

2.7 Wuhuan(오환, 烏桓)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Wuhuan(오환, 烏桓)

-중국어 이름 및 발음: 烏桓(Wūhuán, 위후안)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만주 서부지역(헤이룽장 성, 지린 성, 랴오닝 성) 및 내몽골지역

-중국사의 출현 시기: 기원전 4세기~서기 3세기 후반 한족에 동화됨

-중국어 이외의 이름: 없음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해당 없음

-추정 가능한 후손: 알려진 후손 없음

 

2.8 Sai(, )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Sai(, )

-중국어 이름 및 발음: (Sāi, 사이)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중앙아시아 일대에 분포하였음

-중국사의 출현 시기: 기원전 2세기~서기 1세기

-중국어 이외의 이름: Saka(사카)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기원전 5세기

-추정 가능한 후손: 불분명함

 

2.9 Dingling, Gaoche, Shule(고거, 高車)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Dingling, Gaoche, Shule(소륵, 疏勒)

-중국어 이름 및 발음: 丁零(Dīnglíng, 딩링), 高車(Gāochē, 가오처), 疏勒(Shūlè, 수러)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바이칼 호 주변 지역 및 현재의 몽골/러시아 국경 지대. 현재의 산시 성, 신장 지역으로 이주함

-중국사의 출현 시기: 기원전 1세기~서기 5세기 후반 한족에 동화됨

-중국어 이외의 이름: 불분명함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불분명함

-추정 가능한 후손: 후손들 일부가 현재에도 바이칼 호 근처에서 살고 있음(불분명함)

 

2.10 Jie(,)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Jie(,)

-중국어 이름 및 발음: (Jié, 지에)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산시 성

-중국사의 출현 시기: 서기 2세기 후반~서기 4세기 중엽 한족에 동화됨

-중국어 이외의 이름: 없음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해당 없음

-추정 가능한 후손: 알려진 후손 없음

 

2.11 Rouran, Ruru(유연, 柔然)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Rouran, Ruru(유연, 柔然)

-중국어 이름 및 발음: 柔然(Róurán, 로우란), 蠕蠕(Rúrú, 루루), 茹茹(Rúrú, 루루)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현재 몽골, 내몽골지역, 산시 성/간쑤 성/닝샤후이의 북부지역, 신장의 동부지역

-중국사의 출현 시기: 서기 3세기 초반~서기 6세기 초반

-중국어 이외의 이름: 튀르크인 및(또는) 몽골인(다른 인종들을 같은 이름으로 불렀을 가능성이 있음)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서기 6세기 후반~서기 9세기 초반

-추정 가능한 후손: 몽골인

 

2.12 Xi, Kumo Xi(고막해, 庫莫奚)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Xi, Kumo Xi(고막해, 庫莫奚)

-중국어 이름 및 발음: 庫莫奚(Kùmòxī, 구모시)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거란의 거주지와 같았을 것으로 가정함. 하나의 조상을 지닌 두 민족이라고 추정하고 있음

-중국사의 출현 시기: 서기 4세기 전반~12세기 중엽

-중국어 이외의 이름: 없음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해당 없음

-추정 가능한 후손: 알려진 후손 없음

 

2.13 Qidan(거란, 契丹)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Qidan(거란, 契丹)

-중국어 이름 및 발음: 契丹(Qìdān, 치단)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현재 몽골, 내몽골, 만주지역, 랴오닝 성, 산시 성 및 허베이 성의 북쪽 국경지대, 훗날에는 신장 성, 카자흐스탄의 동쪽 국경지대.

-중국사의 출현 시기: 서기 388~서기 1125

-중국어 이외의 이름: Khitan(카이탄)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서기 388~서기 1211

-추정 가능한 후손: 다우르족(Daur), 에벤크족(Evenks). 대원 제국(Yuan Dynasty) 시절에 윈난 성과 광시 지역(Guangxi province)으로 강제 이송한 거란족 출신 패잔병들의 후손이 윈난 성 바오샨 지역에서 살고 있음

 

2.14 Tujue(돌궐, 突厥)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Tujue(돌궐, 突厥)

-중국어 이름 및 발음: 突厥(Tūjué, 투줴)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현재 몽골, 내몽골, 산시 성, 간쑤 성, 닝샤, 신장 성의 북부지역, 카자흐스탄 및 키르기스스탄 동부지역

-중국사의 출현 시기: 서기 5세기 후반~서기 10세기 중엽

-중국어 이외의 이름: Göktürks(괴튀르크)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서기 6세기 중반~서기 9세기 초반

-추정 가능한 후손: 서돌궐인들은 트란속시아나(Transoxiana), 페르시아, 아나톨리아(Anatolia) 등으로 이주했으며, 동돌궐인들은 주로 신장 성의 위구르인에 동화되었다. 오늘날 중앙아시아의 투르크메니스탄인과 위구르인, 그리고 멀게는 터키어를 쓰는 현대 터키인(과 기타 터키인)들은 조상이 서로 같다.

 

2.15 Tufan(吐蕃, 토번)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Tufan(吐蕃, 토번)

-중국어 이름 및 발음: 吐蕃(Tǔbō, 투보. 타이완에서는 투판이라고도 발음함)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현재 티베트, 칭하이 성, 쓰촨 성/간쑤 성/산시 성의 서부 변경지역, 신장의 남쪽 경계지역

-중국사의 출현 시기: 서기 6세기 중엽~현재

-중국어 이외의 이름: Tibetans(티베트인)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서기 6세기 전반~현재

-추정 가능한 후손: 티베트인

 

2.16 Shiwei(室韋, 실위)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Shiwei(室韋, 실위)

-중국어 이름 및 발음: 室韋(Shìwéi, 쉬웨이)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현재 몽골, 내몽골지역, 만주 서부지역, 시베리아 남부지역

-중국사의 출현 시기: 서기 6세기 후반~서기 10세기 후반

-중국어 이외의 이름: 없음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해당 없음

-추정 가능한 후손: 거란족에게 정복당한 후 살아남은 분파들이 몽골인으로 다시 등장한다.

 

2.17 Huihu(回紇, 회흘)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Huihu(回紇, 회흘)

-중국어 이름 및 발음: 回紇(Huíhé, 훼이허)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현재 몽골, 내몽골, 산시 성, 간쑤 성, 닝샤의 북부지역

-중국사의 출현 시기: 서기 7세기 전반~서기 10세기 중엽

-중국어 이외의 이름: Uyghurs(위구르)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서기 9세기 전반~현재

-추정 가능한 후손: 위구르인

 

2.18 Mohe(靺鞨, 말갈)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Mohe(靺鞨, 말갈)

-중국어 이름 및 발음: 靺鞨(Mòhé, 모허)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만주지역, 내몽골의 북부지역. 발해 건국을 도왔음

-중국사의 출현 시기: 서기 7세기 전반~서기 10세기 전반

-중국어 이외의 이름: Malgal(말갈)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해당 없음

-추정 가능한 후손: 여진족

 

2.19 Dangxiang(党項, 탕구트)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Dangxiang(党項, 탕구트)

-중국어 이름 및 발음: 党項(Dǎngxiàng, 당샹)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닝샤, 간쑤 성, 산시 성의 북부지역, 몽골의 남서지역, 신장의 남동지역

-중국사의 출현 시기: 서기 8세기 중반~서기 13세기 전반

-중국어 이외의 이름: Tanguts(탕구트)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해당 없음

-추정 가능한 후손: 일부는 회족(回族, 둔간족)과 얼수족(Ersu)으로 남았고, 다른 일부는 암도 티베트족(Amdo Tibetans)이 되었다. 또 일부는 산시 성 미지(Mizhi, 米脂) 지역의 한족으로 남았음(명 왕조 말기 반란 지도자였던 이자성[Li Zicheng, 李自成]은 미지 지역 출신의 탕구트족이었음)

 

2.20 Menggu(蒙古, 몽고)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Menggu(蒙古, 몽고)

-중국어 이름 및 발음: 蒙古(Ménggǔ, 멩꾸)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칭기즈칸 이전 시기에는 현재의 몽골, 내몽골, 만주 서부지역, 시베리아 남부지역, 신장의 동부 및 중앙 지역

-중국사의 출현 시기: 서기 8세기 이후

-중국어 이외의 이름: Mongol(몽골)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서기 12세기 후반~현재

-추정 가능한 후손: 대원 제국 시절 쓰촨 성, 윈난 성, 광시 지역으로 보냈던 몽고 병사들의 후예들이 남아 있음

 

 

2.21 Nüzhen, Manzuren(女真, 여진)

-핀인(Pinyin) 로마자 표기: Nüzhen, Manzuren(女真, 여진)

-중국어 이름 및 발음: 女真(Nǚzhēn, 뉘젠), 滿(Mǎn, )

-중국 문헌상의 추정 거주 지역: 만주지역, 내몽골 북부지역

-중국사의 출현 시기: 서기 10세기 전반~현재. 금 왕조(Jin Dynasty)와 청 왕조(Qing Dynasty)를 세웠음

-중국어 이외의 이름: Jurchens(주첸), Mancho(만초), Manchus(만추스), Manchurian(만추리안)

-중국 이외 지역의 출현 시기: 서기 17세기 중엽 이후 러시아인들과 처음 접촉함

-추정 가능한 후손: 중국 둥베이지역(Dongbei, 東北. 랴오닝[遼寧], 지린[吉林], 헤이룽장[黑龍江]3[]을 합쳐서 일컬음)이나 만주지역에서 가장 많은 소수 민족. 일부 다른 모습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이들의 문화는 거의 대부분 한족에 동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