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른손으로 쓰기/정원과 공원

[게릴라 가드너]야생화 씨앗 폭탄을 던져라!

by deli-space 2013. 8. 7.

DIY: 켄드라 윌슨의 야생화 씨앗 폭탄 만들기

DIY: Make Your Own Wildflower Seed Bombs by Kendra Wilson

 

<가드니스타(Gardenista)> 84, 201386일자, ‘도시 속의 여름 정원

 

*출처: 아래 모든 텍스트와 그림은 <가드니스타(Gardenista)>의 아래 웹페이지 기사에서 번역, 인용함.

         http://www.gardenista.com/posts/diy-wildflower-seed-bombs

 

게릴라 가드닝(Guerrilla gardening)이라고 하면 내전(內戰) 상황에서나 쓸 법한 단어라고 생각할 듯하다. 하지만 게릴라 가드닝을 통해서 피어나는 꽃의 아름다움은 오히려 화합의 밑거름이 된다. 허가 받지 않은 가드닝(Gardening without permission)은 이러한 활동을 가리키는 또 다른 말이다. 엄밀히 따지면 불법이지만 관계 당국에서는 그저 사유 불분명(What's not to like)’으로 분류해놓는 정도의 일이다. 앨릭스 미첼(Alex Mitchell)은 자신의 저서인 루버나이트(The Rurbanite)’에서 씨앗 폭탄 만드는 법을 설명한다. 활기찬 기운을 퍼뜨리기 위해서 게릴라 전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사진 촬영: 리 윌셔(Lee Wilshire), 제공: 플리커(Flickr)>

 

앨릭스 미첼의 말에 따르면, ‘루버나이트(rurbanite)’라는 단어는 전원생활에 대한 애착을 갖고 있지만 도시를 떠나고 싶지는 않은사람을 가리킨다. “루버나이트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이들이 점점 도시 안의 녹지에 관심을 갖게 된다.” , 이제 게릴라 가드닝을 시작해보자.

 

다음은 미첼의 말이다. “씨앗 폭탄이 단연 최고다. 방치된 로터리(roundabouts), 도로의 중앙분리대(central reservations), 화단, 플랜터 등에 씨앗 폭탄을 던져 넣을 때가 가장 재미있다.”

 

게릴라 가드너들은 대개 모종삽으로 무장을 하고 야간에 작전을 감행한다. 하지만 씨앗 폭탄을 활용하면 문제 소지가 있는 위법 행위를 저지르지 않고도 모종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자전거나 자동차를 타고 가다가 폭탄을 던져버리는 것이다. 그냥 걷다가 던질 수도 있다.

 

앨릭스 미첼의 말에 따르면 씨앗 폭탄을 던지는 시기로는 봄이나 가을이 제격이라고 한다. 아니면 비가 세차게 내릴 때를 틈타서 씨앗 폭탄을 이용한 공격을 시도할 수도 있다.

 

<사진 촬영: 켄드라 윌슨(Kendra Wilson)>

 

씨앗 폭탄을 던지기 전에 먼저 대상지의 일조 상태를 조사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씨앗을 고른다. 양지성(陽地性)의 일년생 초화류(sun-loving annuals)를 반드시 고를 필요는 없다. 디기탈리스(foxgloves)는 조금 그늘진 곳에 알맞을 수도 있다. 대표적인 일년생 초화류인 코스모스(위 사진)는 게릴라 가드닝에 딱 들어맞는 완벽한 식물이다.

 

<사진 제공: 카일 북스(Kyle Books)>

 

앨릭스 미첼은 서로 다른 유형의 씨앗을 섞어서 폭탄을 제조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씨앗들이 한해의 같은 시기에 모두 파종할 수 있는 것인지 확인해봐야 한다.

 

<사진 제공: 카일 북스(Kyle Books)>

 

씨앗 폭탄으로 만들기에 가장 알맞은 초화류들은 다음과 같다. 양지에는 양귀비(poppies), 수레국화(cornflower), 매리골드(marigold) 등의 일년생 초화류가 좋다. 캘리포니아 양귀비(Californian poppies), 코스모스(cosmos), 접시꽃(hollyhocks), 니겔라(nigella), 버들마편초(verbena bonariensis), 바이퍼스버그로스(viper's bugloss) 등도 안성맞춤이다. 음지에는 산림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의 씨앗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디기탈리스(foxgloves), 담배(tobacco plant), 루나리아(honesty) 등이 좋다.

 

도시 농부를 위한 종자 및 식물 판매(Urban Farmer Seeds & Plants)’를 통하면 텍사스 주, 캘리포니아 주, 미국 중서부 지역과 동남부 지역 등 다양한 곳에서 자라는 야생초화류 씨앗 혼합물 컬렉션(Wildflower Seed Mix collections)’을 제품 하나당 8달러(한화 약 9,000)에 구입할 수 있다. ‘영국의 아름다운 목초지(UK Pictorial Meadows)’ 웹사이트(http://www.pictorialmeadows.co.uk/)에 가면 가지각색의 대상지에 알맞은 초지식물의 씨앗을 폭넓게 골라볼 수 있다.

 

<사진 제공: 카일 북스(Kyle Books)>

 

제조법은 아주 간단하다. 초콜릿 과자(chocolate truffles, 초콜릿 트뤼플)을 만드는 방법과 약간 비슷하다. 30분 정도 시간이 걸린다.

 

재료:

초화류 씨앗

찰흙(陶土) 분말(Potter's clay powder), 공예품점 아무 곳에서나 구입하면 된다.

토탄(土炭) 성분이 없는(Peat-free) 퇴비

그릇

구이 판(baking tray)

 

제조법:

씨앗, , 퇴비를 그릇에 넣고 섞는다. 흙 세 줌, 퇴비 다섯 줌, 씨앗 한 줌의 비율이다. 그러고 나서 천천히 조금씩 물을 붓고(너무 끈적끈적하게 되면 곤란하다), 모든 재료를 다시 골고루 섞어서 반죽을 만든다. 잘 섞은 반죽으로 트뤼플 크기의 공 모양을 빚는다. 볕이 잘 드는 창턱에 구이 판을 놓고 최소 세 시간 정도 말린다.

 

<사진 제공: 카일 북스(Kyle Books)>

 

버려진 채로 남아 있어서 마음을 울적하게 하는 훼손오염지역(brownfield sites)에 씨앗 폭탄을 투하해서는 안 된다. 그런 지역들은 사적인 소유지일 가능성이 높고 나름의 미세한 생태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저 내버려두는 것이 최선의 방책이다. 공원이나 다른 사람 소유의 정원도 마찬가지다. 그 대신 그냥 방치된 상태의 플랜터나 화단을 구제하라. 식재 계획 없이 오랫동안 내버려두고 있는 공공장소 또한 구원의 대상이다.

 

<사진 촬영: 켄드라 윌슨(Kendra Wilson)>

 

앨릭스 미첼은 좋은 명분이 있는 싸움을 이제 훌륭하게 치르자(fight the good fight)고 말한다. “전 세계의 루버나이트들은 책임감과 자긍심을 갖추고 자신의 집 주변에 있는 공공의 녹지를 살펴보고 있다.”

 

앨릭스 미첼의 책 루버나이트(The Rurbanite)’는 카일 북스(Kyle Books)에서 판매하며 13.59파운드(한화 약 23,400)에 구입할 수 있다.

 

영국의 게릴라 가드닝 운동에 대해서 더 알아보고 싶다면 런던의 게릴라 가드너들이여, 던져라 그리고 가꾸어라(Throw It, Grow It, London's Guerrilla Gardeners)’라는 책을 참고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