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1
: 참고문헌 목록과 주석
Landscape Urbanism: An Annotated Bibliography
2010년 6월 24일
Allison Duncan
: PhD Candidate, Toulan School of Urban Studies and Planning, Portland State University
Ethan Seltzer
: Professor, Toulan School of Urban Studies and Planning, Portland State University
01.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란 무엇인가?
0101. 논평(Observations)
001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현재 건축가와 조경가 모두 프로젝트와 대상지 맥락에 대한 이해도나 묘사력이 부족한 점을 극복하려는 일종의 대응책이다. 또한 조경가의 역할이 피상적이라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면서 조경가들이 다른 설계 분야, 특히 건축과 차별화하기 위해서 전략적으로 제안하는 개념이기도 하다.
002 역설적이게도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라는 주제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조경가는 건축가들만큼 깊은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003.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지금보다 더욱 확장된 유연성과 생태적인 감성을 설계와 계획 분야에 담으려는 바램을 지닌 여러 개념들을 대표하는 캐치 프레이즈(catch phrase)다.
004.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사회기반시설(infrastructure)에 대해 유난한 애정을 지닌 듯하다. 사회기반시설들을 신중한 고려 없이 “뒤섞는 방식(shrub it up)”을 답습하는 게 아니라 이를 설계 분야로 통합하려는 소망을 가지고 있다.
005. 때로는 관련된 이론이나 어휘를 일부러 모호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이행이 가능한 것이라기보다는 사상적인 활동을 위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006.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이론적인 세부사항에 관해서는 논의할 만한 가치가 있다. 이런 논의에서는 도시 구조를 연결할 때 외부 공간이 담당하는 역할을 파헤친다. 이것은 오랜 세월 동안 도시 설계를 정의하고 구조화하는 데 있어서 건축이 지배적인 역할을 맡았던 관행을 거스르는 것이다.
007 건축물들이 모인 도시의 “빌딩 블록(building block)”에서 랜드스케이프를 “구조화하는 매개체(structuring medium)”로 변화한 것이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라고 많은 저자들이 정의하고 있다.
008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가장 매력적인 측면은 아마도 설계 과정에 불확정성(indeterminacy)을 포함시켰다는 사실일 것이다. 프로그램을 공간에 과도하게 도입할 수도 있기 때문에 설계에서 약간 유연한 부분을 남겨둔다는 것이 흥미롭다. 게다가 불확실성이라는 측면을 고려한다면 향후 실용적인 방안이 될 수도 있다.
009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본질적으로 맥락에 관심을 둔다. 하지만 보다 중요한 사실이 있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에 따르면 건물이 들어선 경관, 지역성을 드러내는 경관, 자연적인 경관 등 모든 형태의 랜드스케이프를 포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모든 랜드스케이프들을 종합하면, 프로젝트를 규정하고 프로젝트를 통해 대응해야만 하는 역학 관계를 이해하는 토대가 된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일종의 생태계를 기반으로 하는 장소와 프로젝트에 관한 이해를 돕는다. 여기서 생태계에는 사람, 사람의 현재 활동, 사람의 과거 활동이 같은 틀 안에서 포함되며, 자연계에 대한 종합적인 관찰처럼 조사하는 것이다.
0102. 이론의 대표자(Thought Leaders)
010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이론에 대해서 왕성하게 저술 활동을 하는 사람(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이론에 기여한 주요 저작을 쓴 사람으로 인용된다는 뜻은 아님)
제임스 코너(James Corner), 스탠 앨런(Stan Allen), 알렉스 월(Alex Wall), 찰스 왈다임(Charles Waldheim)
011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에 대한 설명이 매우 탁월하고 실현 가능한 내용의 글을 저술하는 데 기여한 사람
크리스 리드(Chris Reed), 크리스토퍼 그레이(Christopher Gray), 피터 코널리(Peter Connolly), 리차드 웰러(Richard Weller), 고주식?(고주석?, Jusick Koh)
'왼손으로 쓰기 > 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ndscape Urbanism 01 (0) | 2014.02.15 |
---|---|
IUCN Red List(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 목록) (0) | 2014.02.07 |
[용어]Park and National Park (0) | 2013.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