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재성1 [이정우]코라의 시대, 플라톤과 데리다: 01 이해도가 낮아서 개조식으로 정리한다는 점이 아쉽다. 그저 축약해서 적는 것만도 자꾸 조심스러워져서 동영상을 두어 번 띄엄띄엄 다시 들었다. 하지만 이 또한 인용부호 안에 넣는 것임을, 어차피 의미는 변화한다는 것으로 위안을 삼는 수밖에... * 내재성: 초월성의 극복이며, 현대사상의 기저에 있는 공통적 경향 * 초월성은 대체로 세 가지로 구분 1. 플라톤적, 기독교적 초월성: 이 세계 바깥에 이 세계를 초월한 존재를 설정, 대표적 사례가 기독교, 신 1) 플라톤의 데미우르고스(δημιουργός, demiurge 만드는 자)는 철학자간의 이견이 있기는 하지만 조물주 성격에 가까움 2)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이 이데아의 초월성을 너무 강조했다는 점에서 반박 3) 감각적 차원(경험)과 가지적 차원(이데아) .. 2019. 3.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