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이집트]하트셉수트 여왕의 장제전
하트셉수트 여왕의 장제전
Mortuary Temple of Hatshepsut
출처: 모든 텍스트와 그림, http://en.wikipedia.org/wiki/Hatshepsut%27s_temple
위치: 북위 25°44′18″, 동경 32°36′24″
<하트셉수트 여왕의 장제전>
제세르-제세루(Djeser-Djeseru, 장엄 중의 장엄)라고도 불리는 하트셉수트 여왕(Hatshepsut, B.C 1503~B.C 1482)의 장제전(葬祭殿)은 이집트에 있는 왕가의 계곡(Valley of the Kings) 인근 나일 강의 서안(西岸)인 델 엘 바하리(Deir el Bahari)의 절벽 아래 자리 잡고 있다. 이 기념물은 태양신 아몬-라(Amon-Ra)를 위해 세운 것이며, 멘투호테프 2세(Mentuhotep II, B.C 2061~B.C 2010)의 장제전 옆에 위치하고 있다. 하트셉수트 여왕과 멘투호테프 2세의 장제전은 모두 신의 계시를 받드는 장소로 활용했는데, 훗날에는 채석장으로 바뀌었다. 하트셉수트 여왕의 장제전은 “고대 이집트에서 건설한 가장 뛰어난 기념물”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한편 이 곳에서는 관광객이 대부분인 62명의 사람들이 학살당한 사건도 있었다. 1997년 11월 17일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이 벌인 일이었다.
1. 건축
<뒤편 절벽을 배경으로 하는 하트셉수트 여왕 장제전의 모습>
하트셉수트 여왕의 측근이자 궁정 건축가인 세넨무트(Senemut)가 공사를 감독했다. 하트셉수트 여왕의 장제전은 인접한 곳에 먼저 들어선 멘투호테프의 장제전을 모델로 했으나, 이 두 구조물은 여러 면에서 중요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하트셉수트의 신전에서는 길게 늘어선 열주(列柱)들로 이루어진 테라스를 건설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멘투호테프의 장제전에서 보이는 집중형 구조와는 동떨어진 모습이다. 하트셉수트의 묘실이 분산형 배치를 이루었기 때문에 이런 예외적인 방식을 택한 듯하다. 세 개 층의 테라스는 97피트(약 30미터)에 달한다. 각 층은 두 줄로 이루어진 사각 열주로 구획되어 있다. 단, 중앙 테라스의 북서쪽 모서리에는 장례실 지붕을 덮기 위해서 프로토 도리스식의(Proto Doric) 열주를 사용했다. 세 개의 테라스는 긴 경사로로 이어져 있는데, 옛날에는 유향(乳香), 몰약(沒藥) 등을 포함한 외래 식물을 심은 정원이 경사로 주변을 둘러싸고 있었다고 한다.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하프셉수트의 장제전은 테베(Thebe)에서 나타나는 고전적인 양식과 일치한다. 테베에서는 탑문(pylon, 塔門), 뜰, 다주식(多柱式)의 넓은 방, 일광욕실, 장례실, 성소(聖所) 등을 지었다.
2. 부조(浮彫)와 조각
<현재 일부분만 남은 장제전의 부조>
하트셉수트 여왕 장제전의 부조는 여성으로서는 최초인 파라오의 거룩한 탄생담을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또한 글과 그림으로 이루어진 시가(詩歌)를 통해서 홍해 연안의 신비한 나라인 푼트의 땅(Land of Punt)으로 향하는 여행을 노래하고 있다. 조각상이나 장식품을 훔쳐가거나 파괴해서 지금까지 남아 있지는 않지만, 이 사원에는 한때 서 있는 모습, 앉은 모습, 무릎을 꿇은 모습 등 다양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여왕의 수많은 조각상뿐 만 아니라 두 개의 오시리스(Osiris) 상, 스핑크스들이 늘어선 길 등이 자리 잡고 있었다. 그녀가 죽은 뒤 의붓아들인 토트모세 3세(Thutmose III, ?~B.C 1426)의 명령에 따라 이런 인물상들 중 대부분을 파괴했다고 한다.
3. 역사적 영향
<하프셉수트 여왕 장제전의 전경>
하프셉수트 여왕의 장제전은 이집트의 고전 건축물 중에서 가장 후대의 양식으로 보고 있다. 고대 이집트 신왕국 시대(B.C 1580~B.C 1085) 장례 건축물의 대표 격으로서 파라오의 행적을 과시하고 있으며, 하프셉수트의 사후 세계와 관련된 신들을 숭배하는 성소를 갖추고 있다. 이 장제전은 고대 이집트 건축에 있어서 전환점 역할을 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고왕국 시대(B.C 2686?∼2181?)의 기하학적인 거석(巨石) 문화를 포기하게 되었으며, 능동적인 숭배 행위가 가능한 사원으로 대체한 것이다. 이런 사원에서 장엄함을 표출하려면 사람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선형의 축(軸)을 이루는 하프셉수트의 양식은 신왕국의 후대 사원들에서 비슷하게 반복되었다. 안타깝게도 20세기 초반의 서투른 복원 작업으로 인해서 본래의 사원 건축물이 심하게 변형되었다.